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자금

(12)
대학교 등록금 인상으로 본 수요와 공급의 마찰! 대학 경쟁력은 수급의 총력으로 약해진다! 대학교 등록금은 어디가 끝인지 정말 모르게 오릅니다. 그러한 이유 중 하나는 대학이 돈을 어디다 투자를 해서 얼만큼의 효율성을 높이는가와 같은 투자 게임이 아닌 대부분의 수익을 등록금에 의존하는 구조로 인해서가 아닌가 합니다. 무서운 이유이긴하지만, 소비자에 속하는 (돈을 쥐고 있는 계층) 학생들은 졸업과 그 후의 미래에 대한 고민보다도 오히려 당장 다가오는 등록금을 위해 생활 전선에 뛰어들고 있습니다. 등록금은 고사하고 생활비에 허덕이고 있으니말이죠. 대학은 지금의 등록금 인상을 경쟁력 확보다 뭐다 해서 이야기를 하고 있지만, 그러한 이유가 사실이던 아니던 결국에는 힘든 게임을 하고 있다는것이죠. 고객을 마구잡이식으로 확보하는 것이 중요한 것이 아닌 충성적인 고객을 확보하는 것이 큰 경쟁력이라고 합니다..
대출 이자 급증 원인과 최근 은행 자금 부족 현상 은행이 어떻게 돈을 버는지는 아마 초등학교 고학년 쯤에서 배우셨을 겁니다. 이 단순한 원리가 지금 우리들의 사정을 더욱더 어렵게 만들고 있는 듯 합니다. 그래서 한번 쉽게 이 문제를 이해하고 넘어가고자 합니다. 은행의 그 많은 돈은 은행장의 돈일까요? 아닙니다. 다들 아시다 싶이 은행이 움직이는 돈은 바로 예탁금이라고 해서 고객들이 맡긴 돈과 그리고 빌린(??) 돈으로 마련이 됩니다. 은행이 돈을 빌린다?? 콜금리에 대해서 이야기 할때 바로 은행도 돈을 빌린다는 이야기를 했습니다. 은행은 어디서 돈을 빌릴까요? 바로, 다른 은행에서 돈을 빌립니다. 최소한 기본적으로는 그렇습니다. 그래서 이렇게 은행이 다른 은행에게 빌리는 돈을 콜머니(Call Money)라고 부릅니다. 은행은 모든 돈을 빌려서 장사를 할..
한국은행 긴급자금 지원 처방, 과연 약이 될까? 한국은행 긴급자금 지원 소식 (2007. 12. 01) 을 전해드립니다. 한국은행에서 시중은행의 돈줄이 궁한 사정을 더이상 못 참겠나 봅니다. 드디어 돈을 푼다고 하네요. 펀드로 인해서 시중 자금을 싹쓸이 당하다 싶이 당한 은행들이 양도성예금증서와 은행채의 급격히 증가한 발행으로 인해서 금리가 부쩍 오를 정도라고 하네요. 은행들이 다급하긴 다급한가 봅니다. 그래서 인지 한국은행에서 1조 5천억원이라는 막대한 자금을 풀어서 시중은행들의 돈 가뭄을 해결하려고 한다고 하는데요 과연이 것이 약이 될지는 의문이네요. 실제 수급상으로 보면, 은행들은 시중에서 자금을 끌어와서 이것이 기업 대출로 이루어지던가 아니면 개인으로 대출이 이루어져야 선순환이 이루어지는데요. 한국은행으로 부터 받는 자금의 규모가 크다고해도 사..
엔케리 트레이드와 엔케리 자금이란 무엇인가! 엔케리가 우리에게 미치는 영향! 경제 신문에 엔케리 트레이트, 엔케리 자금이라는 말이 많이 나옵니다. 이러한 엔케리 트레이드, 자금은 많은 문제를 가지고 있으면서, 또 어떤 면으로 보면 투자의 한 방안으로 생각할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건전한 투자와의 관계 여부는 사람 마다 다르겠죠~ 그래서 엔케리가 무엇이고, 이 엔케리 자금과 엔케리 트레이드에 대해서 이야기하고자 합니다. 엔케리 자금은 일본의 저금리(다른 시간으로는 제로 금리)로 인해서 엔화를 빌려서 생긴 일종의 대출금이 엔케리 자금이 됩니다. 그리고 이 엔케리 자금으로 주식 거래나 부동산, 선물, 옵션 등의 각종 거래를 하는 것이 바로 엔케리 트레이드입니다. 근데, 왜? 엔케리 트레이드가 문제가 되고 있는 것일까요? 그것은 바로 엔케리 자금은 언젠가 떠나게 되는 돈이고, 이 돈이..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