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금 (12) 썸네일형 리스트형 채안펀드 관련 소식, 채권시장안정펀드 3조4천억 출자한 은행 채권시장 일으키기 본격 가동 은행들이 바빠졌습니다. 채권시장의 불황은 곧 기업 자금의 불황이라는 이야기와 같을 정도로 채권 시장은 상당히 중요한 투자 시장중에 하나라고 할 수 있는데요. 은행들이 이러한 채권시장의 안정을 목표로 채권시장안정펀드에 약 3조 4천억정도를 출자하기로 했다고 합니다. 출자라고 한다면, 특정 투자처에 자금을 내는 것과 같은 것인데요. 물론, 공짜로 기부하는 것은 아니죠. 출자가 이루어지면, 일정한 지분을 획득하게 되고, 이러한 지분을 바탕으로 수익 발생시 수익 배분의 근거가 됩니다. 당초 약 10조원정도를 목표로 했다고 하니... 3조 4천억이면 비교적 규모가 있는 수치인것은 사실입니다. 그동안 정부에서도 은행들의 시장살리기 운동에 동참해야하는 뉘앙스를 많이 풍겼는데요. 이왕 들어가기로 맘 먹은 투자에는 정말.. 시장 유동성 (자금 유동성) 조절을 하는 이유, 시장에 풀린 돈의 양면성 본 글은 시장 유동성 (자금 유동성)이 시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간단한 개념을 다룬 글입니다. 지금의 현대 생할은 돈이라는 거래의 매개체를 기반으로 삶에 필요한 많은 것들, 그리고 상상하고 꿈꿔왔던 많은 것들, 미래를 위한 투자등을 하게 됩니다. 우리들이 가진 돈의 총합은 가장 이상적인 것은 어느정도 계획된 만큼만 가지고 있는 것일 수 있습니다. 부자가 가진 돈의 양과 돈이 없는 분들이 가진 돈... 노인이 가진돈... 어린이가 가진 돈 모두 다 합쳤을때 우리가 "이정도는 괜찮다..."고 생각하는 양만큼만 가지고 있다면 그것이 바로 가장 이상적일 수 있다는 것이죠. 왜? 그런 것일까요? 혹여나 무엇인가 큰 손에 의해서 움직여지게 하려고 그러는 것일까요? 그런것은 아닙니다. 만약 무엇인가 움직이는 손이 .. 주택 관련 금리 9% 돌파, 쪼들리면 생각해봐야할 것들~! 주택관련 고정금리의 상승으로 인해서 연 9%를 넘어섰다고 합니다. 시류적으로 경기 상황적으로 안좋은 영향으로 인해서 고정금리가 올랐다고 하지만 눈높이 보다 높은 집에 대한 환상은 아직도 쉽게 무너지지 않은 모습을 쉽게 볼 수 있어 답답할 뿐입니다. 드라마나 영화에서는 기본적으로 내집에 내차에... 그리고 간간히 들려오는 직장 동료들의 알 수 없는 내집 폭등(???)은 내가 살 집쯤은 대출에서 투자하는 것이 당연시 된 상황을 보여주는 것이 아닌가 합니다. 과연 이러한 상황이 정상적이라고 할 수 있을까... 하는 생각이 문득 드는군요. 시간이 지나면서 집값만 오르는 것이 아니라 쌀값도 라면값도 자동차 가격도 오르고 화폐의 가치도 주식의 가치도 오르는 법인데 쓸 수 있으면서 묵혀놀 수 있다는 점 때문에 부동산.. 홈에버, 긴급 자금보다 더 중요한건 이미지 회복! 홈에버가 이랜드 계열이라는 것은 아실겁니다. 이번에 유럽 사모펀드로 부터 4000억원을 유치함으로써 자금난에 허덕이던 홈에버가 기사회생의 일로에 섰다고는 하지만 그것이 전부가 아님은 홈에버 스스로가 더욱더 빨리 알고 대처해야하지 않을까 합니다. 싼값에 좋은 품질이면 시장을 이기는 것이 아니라는 것... 이미지로 승부하는 시대가 되었다는것... 큰 기업일 수록 더욱더 절실히 느끼는 부분일 겁니다. 하지만, 아직도 이랜드 사태서 부터 갖가지 잡음은 이랜드를 우호적으로 보기에는 최소한 저의 머리속은 아니지 않을까 하는 생각을 해보게 됩니다. 좋은 기업은 도와주고 싶어서 사는것이 아닌 믿음이 가기에 사는것입니다. 믿음으로 사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지는 광우병 파동으로 믿을 수 있는 먹거리에 대한 관심이 더욱더 높.. 산업은행의 민영화 바람, 시대의 순풍에 따르는 것 산업은행은 지금 변신중입니다. 이제 민영화에 대한 이야기가 본격적으로 나와서 기사까지 나왔으니 말이죠. 지주회사로 전환하는 구조를 취하면서 변화를 한다고 하는데요. 이것은 참 의미하는 바가 높지 않나 합니다. 어느 회사이던 국가 소유이던 아니면 기업의 소유이던 개인의 소유이던 시장을 이끌어나가기 위한 원동력은 바로 경쟁력과 효율성이지 않나 싶습니다. 물론, 다른 많은 영향이 있기는 하지만, 경쟁력과 효율성을 높이지 않는다면 그것은 도태의 길을 걷는것과 마찬가지죠. 산업은행은 민영화를 통해서 시장에서 본격적인 심각한 경쟁을 할 것입니다. 누가뭐라고 그래도 민영화는 산업은행에 근무하는 직원들에게 기회보다는 힘든 경쟁력 축척의 임무로 인한 스트레스가 주어지지 않을까 생각해봅니다. 그러나 경쟁력이 없다면 산업은.. 베어스턴스의 유동성 악화 시인, 거물의 위기에 시장은 요동 베어스턴스에 관한 소식 (2008.03.15) 을 전해드릴까 합니다. 베어스턴스도 어렵다고 합니다. 누구나 할 것없이 서브프라임 악몽은 전부의 꿈이었나 봅니다. 이 악몽이 아직도 진행중이라는 점은 시장을 요동치게 하였습니다. 거물은 괜찮겠지... 어려운 시기에는 누구나 다 어려운 법인데 말입니다. 베어스턴스가 겪고 있는 유동성 문제는 시장에서 베어스턴스가 바로 쓰러진다는 이야기로 들렸는가 봅니다. 뉴욕시장도 아래로 곤두박칠 졌으니까요. 뉴욕에서 1%대 하락은 우리의 3~4% 하락과 맞먹는다고 합니다. 1% 후반대 충격은 시장이 그만큼 놀라고 또 놀랐다는 증거가 아닌가 합니다. 베어스턴스의 위기에 연방준비제도이사회에서는 자금 지원에 대한 코멘트를 했습니다. 그러나 시장의 충격은 잦아들지 않았다는 점에서 어.. 자산유동화증권이란 무엇인가! 자산유동화증권 ABS 뜻과 개념 본 글은 자산유동화증권이란 무엇인지 자산유동화증권 ABS 뜻과 개념을 설명하는 글 입니다. 회사는 나름의 재산이 있습니다. 돈도 있고, 건물도 있고, 채권이나 주식같은 것들도 있습니다. 그런데 그것은 현금이 아닙니다. 그렇지만 현금만큼의 가치를 가지고 있죠. 그렇지만 역시나 현금이 필요한 순간이 있게 됩니다. 그래서 많은 기업들이 주식을 발행하고 또 채권을 발행하고, 대출을 내면서 기업의 자금을 조달하게 됩니다. 이 경우 많은 자산 평가가 이루어지지만 그렇다고 쉽게 채권을 발행하거나 대출을 낼 수 있는 것은 아닙니다. 즉, 현금을 구하기 힘들다는 것이죠. 그래서 새로운 금융 투자 상품을 만들어 냈습니다. 자산유동화증권이라는 것이죠. 자산유동화증권은 영어로 ABS라고 합니다. 여기서 ABS는 Asset B.. 월말효과란 무엇인가! 주식 월말효과 뜻과 투자 자금유입 월말효과 투자 주의사항 본 글은 월말효과란 무엇인지 주식 월말효과 뜻과 투자 자금유입 월말효과 투자 주의사항을 설명하는 글 입니다. 이번달은 월말효과가 톡톡히 일어난 달이라고 합니다. 그러한 월말효과가 무엇이며, 또 왜? 일어나고 그러한 월말효과가 주식시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합니다. 월말효과란 월말에 주식에 집중적으로 투자를 하는 주식형 펀드서 부터 시작해서 펀드에 맡겨진 투자자산을 주식에 투자하는 펀드까지 주식시장과 관련된 펀드로 유입된 돈의 양이 많아짐에 따라 주식시장에서 매수가 활발하게 일어나 지수에 영향을 미치는 효과를 말합니다. 이러한 월말효과가 진정으로 힘을 발휘하는 상황이 이루어지려면, 일단, 전반적으로 이 월말 시기에 강한 매도가 없어야 합니다. 만약 강한 매도세가 지속이 된다면 월말 효과로 인해.. 이전 1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