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활 경제

부동산 거래시장, 금리인상 여파 이겨낼까! - 주택담보대출 금리인상과 부동산 거래시장.

금리 인상으로 인한 주택 담보 대출등을 포함한 부동산 거래 대출에 미치는 영향에 따라 부동산 거래 시장의 악영향 여파를 조명해 보았습니다.

부동산을 자기돈 100%로 거래를 한다면, 분명 최근의 부동산 거래 시장의 한파는 오히려 따뜻한 봄바람이 되었을지도 모릅니다.

그러나 부동산 거래를 하는데 있어서 많은 경우가 대출을 끼고 거래를 해야할 만큼 그 가격이 천정 부지로 올라왔다는 점과 부동산 투자 혹은 부동산 투기 광풍으로 인한 위험 수위의 대출은 금리 인상 소식에 다시 한번 부동산 시장을 얼어 붙게 할 만큼의 힘을 가지고 있지 않을까 합니다.

금리 인상이 부동산거래시장 발목 잡나?

기준 금리가 0.25% 오름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대출 금리 역시 0.25% 혹은 그 이상이 오를 가능성이 매우 높습니다. 이미 주택담보대출 금리가 오른 경우도 있고요.
예금 금리 소식이 가장 먼저 도착하고 그 다음으로 바로 이어서 각종 대출금리 인상 소식이 오기 때문이죠.

그런데 이 금리 인상은 가뜩이나 어려운 부동산 거래시장을 꽁꽁 얼어붙게 할 가능성 역시 존재하게 됩니다.

일단, 기존의 대출자들에게는 금리 인상으로 인해 금리 부담을 덜기 위해 대출 상환을 고려할 것이고, 이러한 대출 상환 고려가 부동산 급매 속출로 이어지게 될 경우 오히려 부동산 시장에서는 투기 상황보다 더욱더 어려운 상황에 직면하게 되지 않을까 합니다.

만약 무조건 오른다면 당연히 이자를 끌어안고 가겠죠.

그러나 무조건 오른다는 보장이 없는 상황일 뿐만 아니라 오히려 부동산 시장에 대한 비관적인 시각으로 인해서 매물을 내 놓는 매도자와 매수를 하는 부동산 매수 대기자 모두 적극적이 될 수 없는 구조가 됨에 따라 부동산 가격의 하락을 불러올 수 있게 됩니다.

부동산 가격의 하락은 어느정도 조정의 단계로 볼 수 있으나 급매물의 속출로 이어질 경우에는 부동산 판매자 마저 포기하게 되고 이러한 판매 포기는 대출 상환의 어려움으로 인해 강제적인 매물 처분 단계에서 오는 사회적인 진통이 급속히 진행되지 않을까 합니다.

이는 투기적 거래의 결과로써 과도한 주택 담보 대출자나 주택 마련 대출자들에게는 큰 고통이 될 것이라 생각을 하게 됩니다.

정작 큰 문제는 시장 악화로 인해서 건설사들의 줄 도산이 됩니다.

부동산 투자가 투기를 수반한 상태에서 이루어진 경우가 많기 때문에 "투기에서 다시 투자"로의 투심 회귀 현상을 보이는 것이 아닌 "투기에서 포기"로의 투심 붕괴 현상이 일어날 경우 분양에 어려움을 겪는 건설사들이 큰 고통을 받게 될 것이죠.

분명 건설사들이 내 놓는 달콤한 수익만을 바라보고 투자를 해서는 안됩니다.
그러나 시장 자체에 대한 불신이 쌓일 경우 그 불신이 걷혀지기 까지는 상당한 시간과 사회적 비용이 소요가 되기에 "미분양의 길" 보다는 "저마진 공략"으로 시장의 신뢰를 찾아야 하지 않을까 합니다.

사실, 큰 몫돈이 들어가는 부동산 투자의 경우 한번 시장의 신뢰를 잃게 될 경우 아무리 손해보는 가격으로 미분양을 막아보려고 해도 그 가격 자체에 대한 신뢰를 잃었기 때문에 건설사들의 줄도산 진행 속도보다 신뢰 회복 속도가 훨씬 느리게 되어 최악의 경우 줄도산의 도미노를 막지 못하는 불상사가 발생될 수 있지 않을까 합니다.

시장의 건전화 그리고 정상화가 먼저 이루어져야 합니다.

건설사에서 주택을 공급할때는 막연히 높은 가격으로 고급화 전략을 추구하는 것 보다는 마진율을 조정하여 다른 회사들과 경쟁할 수 있어야 하고, 주택 구매자의 경우 "부동산 불패 신화와 같은 막연한 투기적 상상"다는 실리적으로 자신에게 맞는 규모의 주택 구입 대출을 이끌어내야 하지 않을까 합니다.

뿐만 아니라 금리 인상 시기에서 주택 담보 대출 금리 인상에 따른 이자 부담을 줄이기 위해서는 어느정도 과감한 경제적 결정이 필요하지 않을까 합니다.
현재 어느정도 대출금리를 견뎌낼 수 있다면 모르지만, 그 부담이 가계 경제에 타격이 크게 존재하여 심지어 추가적인 대출을 고려하는 경우에는 끌어 않는 것이 절대적으로 도움이 되지 않을 것이라 생각 하게 되네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