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글은 무상증자란 무엇인지 주식 무상증자 뜻과 무상증자 권리락 개념을 설명하는 글 입니다.
무상증자란 기업의 자본금 증가 방법 중 하나로써 자본금 증가를 위해 기업의 내부 자금을 활용하는 자본금 증가 방법을 뜻 합니다.
무상증자와 대치되는 개념으로는 유상증자로써 기업의 자본금 증가를 위해 기존 주주 혹은 신규 주주로부터 주식을 발행해 매각하는 방식의 유상으로 기업의 자본금을 증가하는 방법을 뜻 합니다.
무상증자와 유상증자의 가장 큰 차이점은 기업의 자본금 증가 시 유상으로 진행하느냐 아니면 무상으로 진행하느냐에 따라 달라진다고 볼 수 있습니다.
무상증자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기업 자산의 개념과 자본을 증가 시키는 증자라는 개념을 이해해야 하는데요.
기업의 자산은 크게 자기자본인 자본과 타인자본에 해당하는 부채로 구성됩니다.
이 중 자본에 해당하는 자기자본은 주주들에게 주식을 발행하여 판매함으로써 납입된 주금을 바탕으로 하는 자본금과 기업이 이익활동 등을 통해 형성된 잉여금이 있습니다.
무상증자란 기업이 보유한 잉여금을 자본금 계정으로 옮기는 과정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예를들어, 기업이 올 해 수익이 매우 좋았다고 합시다.
그래서 이익잉여금이 많이 생겼다고 했을 때 이익잉여금 중 일부를 현금배당하지 않고 무상증자의 형태로 한다면 기업의 이익활동으로 생긴 현금은 고스란히 자본금으로 편입될 수 있습니다.
무상증자는 의미상으로 잉여금을 자본금으로 편입하는 과정이기 때문에 기업의 총 자본 (자본총계)는 변하지 않게 됩니다.
예를들어 무상증자 비율이 1:1라고 했을 경우, 회사 주식 1주당 신주 1주를 더 받을 수 있다고 합시다.
그럼 회사 주식 1주만 가지고 있으면 1주를 신주 배정받을 수 있으므로 총 2주가 생기게 됩니다.
그러나 이는 어디까지나 무상증자 권리락을 고려하지 않았을 때 입니다.
무상증자 권리락을 제대로 알게 되면 무상증자를 하더라도 결국 변하는 것이 없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무상증자를 하게 되면 무상증자 권리락이 발생하게 됩니다.
무상증자 권리락은 무상증자 권리가 부여된 주식에서 해당 권리가 소멸함에 따라 발생하는 가격조정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따라서 무상증자 권리락 발생일에는 가격이 무상증자 비율에 따라 권리락이 발생합니다.
앞서 예에서 1주당 무상증자로 인한 신주를 1주를 주주들에게 제공한다면 무상증자 권리락은 대체적으로 50% 정도 됩니다.
그럼, 무상증자 권리락일에는 주가는 50% 정도 낮아지고 주식 수는 50%가 증가하게 됩니다.
무상증자 권리락과 관련해서 많은 분들이 혼돈 스러워하시는 점은 결국 주가가 무상증자 비율만큼 낮아지고 대신 주식 수가 늘어나게 되면 결국 무상증자 전과 후는 동일하게 됩니다.
예를들어, 1주당 5000원의 주가인 A회사 주식에 대해 회사가 1주당 무상증자 1주를 하는 1:1 무상증자 비율의 무상증자를 시행한다고 합시다.
그럼 이 회사 주식을 무상증자 전 100주를 가지고 있게 되면, 해당 회사 주식 투자자는 총 50만원의 투자금을 통해 해당 회사 주식 100주를 보유하게 된 것입니다.
5,000원 X 100주 = 500,000원
회사에서 1:1 비율로 무상증자를 하게 되면, 100주에 100주를 더하게 되므로 총 200주가 됩니다.
그러나 권리락은 약 50% 정도 발생하게 되므로 1주당 주가는 2500원이 됩니다.
2,500원 X 200주 = 500,000원
결국 무상증자 전과 후의 주식 가치는 동일해진다고 볼 수 있습니다.
무상증자는 권리락의 개념을 잘 알고 있다면 무상증자가 곧 호재가 아니라는 점을 쉽게 간파하실 수 있습니다.
따라서 무상증자를 이해할 때 무상증자 권리락을 동반해서 이해하는 것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